posted by 김도련 2012. 11. 3. 02:12
728x90
반응형

 1. 준비물

 

i. 마우스 귀 4장

ii. 마우스 머리 1장

iii. 마우스 몸L 1장

iv. 마우스 몸R 1장 

v. 마우스 전체 몸통(머리와 몸통) 3장 

vi. 손잡이용 무늬(여기에서는 물고기 모양 2장) 

vii. 퀼트 솜

viii. 끈 20cm

ix. 열쇠고리

 

 

i (귀) 시접을 줘서 4장을 자른다.

 

 

ii (머리), iii (몸L), iv (몸 R) 각 한장씩 시접을 줘서 자른다.

 

 

  

v에 해당하는 전체 몸통 3장(시접을 주고 자른다.)

 

 

 

vi. 특정 모양을 할 경우 시접을 준 후 2장을 자르고, 아닌 경우 7*7cm 사각형 1장만 있어도 된다.

 

끈과 열쇠고리

 

 

2. i(귀) 4장 중 2장을 겉이 마주보게 해서 온박음질 해준다.

 

 

3. 두개의 귀를 박은 후 뒤집는다.(작아서 뒤집기가 힘들다.)

 

 

 

 

4.ii(몸L), iii(몸R)를 겉이 마주보게 해서 중간부분만 박음질 한다.

 

5. ii와 iii를 박은 부분을 갈라서 다림질 해준다.(가름솔 해준다.)

 

 

6. 5번의 겉부분에 귀(주름을 넣고 싶은 경우 살짝 접으면 된다.)를 놓고 박음질한다.

 

 

7. 머리부분에 눈을 표시하기 위해 박아준다.

 

 

 

8. 6번(몸L과R 그리고 귀를 붙인)에 7번(눈을 표시한 머리부분)을 겉이 마주보게 해서 박음질 한다.

 

 

 

9. v(전체몸통)과 같은 크기로 퀼트 솜을 2장 자른다.

 

 

10. 자른 솜에 8번(몸LR, 눈, 머리를 붙인)의 겉과 v(몸통전체)의 1장을 겉이 마주보게 얹어서 박음질 한다.

 

 

 

11. 남은 퀼트 솜과 남은 v(전체몸통) 2장을 겉이 마주보게 해서 역시 박음질 해준다.

밑에 남겨둔 창구멍으로 뒤집은 후 창구멍은 공그르기 해준다. 

 

12. vi(물고기 모양) 2장을 겹쳐서 박음질 해준다.(단 창구멍 3cm 제외)

 

창구멍

 

14. 창구멍으로 뒤집는다.

 

 

 

15. 창구멍으로 솜을 채워준다.

 

 

 

16. 몸체 2개를 속지(회색천)이 마주보게 해서 두개를 공그르기를 한다. (단, 겉지를 공그르기 해야지 속지가 안보인다.) 또한 머리부분 1cm와 밑부분은 제외

 

 

 

공그르기에서 제외된 밑부분

 

역시 공그르기 제외된 머리부분

 

17.끈을 반으로 해서 열쇠고리 쪽으로 넣는다.

 

18. 17번에 먼저 통과 된 끈에 남은 끈을 통과

 

 

19. 몸체 밑으로 해서 머리쪽으로 끈을 빼준다.

 

20. 끈을 묶어서 연결

 

 

21. 연결한 끈을 물고기 모양에 넣고 박아준다.(공그르기)

 

 

 

22. 완성

 

 

 

물고기 문양을 대체시 (12~15번 과정을 대체시)

 

 

7cm의 직사각형을 반을 접어 긴쪽을 박음질 후 뒤집되, 반이 접히도록 뒤집는다.

사진과 같이

그리고 고리(20번 과정)를 사진과 같이 박아준다.

 

뒤집는다.

 

 

 

// 언니 생일 선물로 만든 작품^^

 

 

반응형
posted by 김도련 2012. 11. 2. 00:34
728x90
반응형

1. 재료 준비

 

i. 지름 14.5cm 원형 천 *1장

ii. 지름 8.8cm 원형 천 *1장

iii. 지름 5.5cm 원형 두꺼운 마분지 (종이)*1장

iv. 5*5cm 정사각형 천 * 10~12장

v. 18cm 정도의 고무줄

 

 

 

2. ii (지름 8.8cm 원형 천)의 중간에 iii (5.5cm 마분지)를 두고 천에 표시가 나게 그려준다.

 

 

 

 

3. ii(8.8cm 천)의 가장자리에서 0.5cm 정도 띄우고 홈질을 해준다.

 

 

4. 홈질 후 매듭을 짓지 말고 여유(10cm 정도)를 두고 잘라준다.

 

5. 앞서 한 홈질에서 다시 0.5cm 정도 들어와서 홈질을 해준다.

 

 

6. 두번째 홈질 역시 매듭 없이 여유을 주고 끊는다.

 

 

7. i (14.5cm 원형 천)에 ii와 같이 두줄 홈질을 하고 끝부분 역시 동일하게 매듭없이 길게 여유를 주고 자른다.

 

 

 

 

 

 

8. ii에 iii(마분지)를 놓고 여유를 준 실 부분 2개를 당긴다.

 

 

9. 다 당기고 남은 여유분의 실로 지그재그로 왔다갔다 해서 고정시켜준다.

 

 

 

10. i도 마찬가지로 남은 실 2개를 당겨서 그릇처럼 오목하게 만든다.

 

 

 

11. 오목하게 만든 부분에 솜을 넣는다.

 

 

12. 다시 실을 당겨서 완전히 막는다.

 

 

13. 역시 당기고 남은 실로 사선으로 왔다갔다 해서 고정시킨다.

 

13. 고무줄을 연결(손목에 먼저 둘러 보고 길이가 짧으면 연결할 필요없음)

 

14. ii의 뒷부분에 고무줄을 고정시킨다. (13번에서 고무줄이 짧아서 연결을 안한 경우 이부분에서 ii와 고정시켜주면 된다. 위아래로)

 

15. 윗부분 고정 후 아랫부분 고정

 

16. iv (5*5cm 사각형 천)를 사선으로 반 접는다.

 

17. 다시 사선으로 반을 접는다.

 

18. 아랫부분을 홈질 한 후 당긴다. 꽃잎모양이 된다.

(홈질 후 매듭짓지 말것! 남은 iv 모두를 한꺼번에 연결)

 

19. 두개를 연결한 모양

 

20. 여러개 연결한 모양

 

 

21. ii에 꽃잎모양을 고정시킨다.

 

 

 

22. 꽃잎을 고정시킨 후 반대쪽 모양

 

23. 솜을 넣고 고정시킨 i를 ii에 고정한다.

 

24. 완성

 

 

 이건 집에서 복습한다고 만든 핀 쿠션--꽃잎대신 레이스에 주름을 줘서 사용하고 고무줄은 좀더 두꺼운 것으로 이용

 

반응형
posted by 김도련 2012. 11. 2. 00:26
728x90
반응형

9. 공그르기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킬 때 주로 쓰는 바느질법. 헝겊의 시접두 번 접은 후 최대한 실 땀이 시접 겉으로 나오지 않도록 꿰매는 방법이다. 시접의 접은 부분에 실을 통과시키고 윗단을 살짝 뜬 후 다시 접은 부분에 실을 통과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또 헝겊의 시접을 맞대고 실 땀이 시접 겉으로 나오지 않게 하는 방법이 있다.

 

i. 단부분 접 듯이 두번 접어준다.

 

 

 

ii. 천 사이로 시작한다(매듭이 보이지 않게)

 

iii. 바늘로 천의 한가닥이나 두가닥만 떠준다.

 

iv. 실 나온 부분의 바로 밑단부분으로 바늘을 넣어서 1~1.5cm 떠준다.(천 안으로 뜨는 거라 눈에 보이지 않는다)

 

 

v. 바늘이 나온 부분의 바로 위에서 또 한가닥이나 두가닥을 떠준다. 그리고 반복 

 

vi. 앞면의 모양(거의 표가 안난다.)

 

vii. 천의 뒷부분 모양

 

 

10. 새발뜨기(시작이 왼쪽이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바느질한다)

단을 꺾어 접었을 때 가장자리를 밑감에 고정시키는 바느질 방법.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한다.

 

i. 대부분의 단부분이 오버처리 되어 있으며 한번만 접는다.

 

ii. 한땀을 떠서 시작

 

iii. 단부분을 0.5cm 정도 떠준다.

 

iv. 바늘 통과 후 실을 당겼을 때 모양

 

v. 다시 윗부분 한가닥이나 두가닥 떠준다. 이것을 반복

 

vi. 앞부분의 모양

 

vii. 뒷부분의 모양(표가 나지 않아야 한다.)

 

 

11. 감침질

직물의 양끝이나 의복의 단이 꺾어진 곳을 꿰매는 바느질의 한 방법.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떠야 한다.

 

i. 단부분을 접은 두개의 천을 포개어 사용

 

 

ii. 두개 천 사이에서 시작(매듭이 보이지 않게)

 

iii. 통과한 자리를 다시 두천 모두를 떠주되 뒤에서 시작

 

iv. 일정한 간격을 두고 뒤에서 앞으로 계속 떠준다.

 

v. 진행되는 모양

 

 

12. 실루프

사용의 예로 스커트에서 안감과 겉감을 연결해 줄 때 사용한다.

 

i. 한번 떠준다.

 

ii. 같은 자리를 떠 주되 실을 다 빼면 안된다.

 

iii. 반정도만 빼고 덜 뺀 실이 고리모양인데 이곳으로 바늘이 있는 먼저 뺀 부분의 실을 반 정도만 넣어 다시 고리 형태를 만든다.

빨간색 부분이 덜 빠진 실부분. 파랑색 부분이 이미 빠져 나온 실

 

빨간색 부분이 덜 빠진 실부분. 파랑색 부분이 이미 빠져 나온 실

 

 

 

 

iv. 바늘에 있던 실이 거의 빠져 나온 모양

v. 다시 만들어진 고리에 방금 빠진 실을 당겨 고리를 만들어 주는 과정을 한다.

몇번하면 이렇게 기둥이 만들어 진다. 2~3cm 정도가  되도록 반복한다.

 

vi. 2~3cm 정도가  되도록 반복한다.

 

vii. 마무리는 고리안으로 바늘을 완전히 통과 시키면 매듭이 지어진다.

 

 

viii. 완성되 모양

 

 

 

13. 버튼홀 스티치

단춧구멍의 뜨는 법과 같은 자수

 

i. 단추구멍 표시후 중간에 잘라서 해줘야 하는데, 하는 방법만 알면 되겠다 싶어서 이미 구멍이 나 있는 블라우스 천으로 연습. 먼저 먼곳에서 한 땀떠서 구멍 가까이서 바늘을 빼준다.

 

ii. 구멍으로 바늘을 넣고

 

iii. 바늘을 다 빼지 말고 바늘에 연결된 남은 실을 바늘에 한번 감는다.

 

iv. 바늘을 뺀 후 매듭이 생겨야 하는 부분(여기에서는 구멍이 나 있는 아래쪽)으로 실을 당겨준다.

 

v. 핸펀 사진으로 찍으니 별로 표가 나질 않지만 매듭이 아래쪽으로 되도록 반복한다.

 

반응형
posted by 김도련 2012. 11. 2. 00:24
728x90
반응형

 1. 홈질

손바느질의 기본으로 바늘땀을 아래위로 드문드문 성기게 꿰매는 방법

 

 

i. 천의 뒤에서 시작

 

ii. 간격이 일정하게

 

iii. 천의 앞 모양

 

iv. 천의 뒷면(매듭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외엔 앞면과 동일)

 

 

2. 박음질(=온박음질)

옷감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기본 바느질법으로 옷이 터지지 않도록 촘촘히 꿰매는 방법

 

i. 뒤에서 시작

 

ii. 왔던 곳을 되돌아 간다.

 

iii. 땀의 간격이 두배가 되게 뜬다.

 

iv. 앞에 모양

 

 

v. 천 뒤의 모양

 

 

 

3. 반박음질

방법은 박음질과 같으나 바늘땀반만 뒤로 돌아와 뜨는 것으로 겉에서 보면 땀의 길이와 땀의 간격이 같게 된다. 박음질보다는 견고하지 않다.

 

i. 시작은 뒤에서 (온박음질과 동일)

 

ii. 뒤돌아 가되 반의 해당되는 부분으로

 

iii. 한배 반에 해당되는 길이 만큼 떠준다.

 

iv. 천의 앞부분

 

v. 천의 뒷부분

 

 

4. 긴시침질

 

i. 천의 앞에서 시작(매듭이 눈에 보이게)

 

ii. 천 땀은 좁게

 

iii. 두번째는 길게(2cm 정도)

 

iii. 천 앞의 모양

 

iv. 천의 뒷면 모양

 

 

5. 보통시침

 

i. 앞에서 시작(매듭이 보이게). 첫 땀은 작게 두번째는 1cm정도로 해준다.

 

ii. 앞면의 모양

 

iii. 뒷면의 모양

 

 

6. 어슷시침

사용의 예로 자켓의 라펠 고정시 쓰임

 

i. 앞에서 시작(매듭이 보이게)해서 윗쪽으로 뜬다.

 

ii.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 윗쪽으로 떠준다.

 

iii. 천의 앞의 모양

 

iv. 천의 뒷면 모양

 

 

 

7. 상침시침

긴 시침질과 방법은 동일

 

i. 천을 접어 준다.(가봉시 많이 쓰임으로 비슷하게 하기위해) 

 

 

 

ii. 시작은 겉에서 한다. 첫 땀은 좁게

 

iii. 두번째는 길게(1.5~2cm 정도)해서 떠준다. 천 앞면의 모양

 

iv. 천의 뒷면 모양

 

 

8. 실표뜨기

 모직물에 실로 표시를 하는 방법인데, 흰 무명실을 겹으로 한 땀씩 건네 시쳐서 표시한다.

 

i. 천 두개를 겹쳐서 사용한다.

 

 

ii. 패턴의 완성선을 따라서 하되 매듭은 짓지 않는다. 처음 한 땀은 좁게

 

iii. 두번째는 길게 또 좁게 해서 떠줬을 때 천의 앞면의 모양

 

 

iv. 천의 뒷면의 모양

 

 

v. 길게 떠준 부분의 다 잘라준다.

 

 

 

vi. 위에 천을 살짝 들어 올려 준다.

 

vii. 중간에 실이 보인다.

 

viii. 보이는 천을 가위로 잘라준다.

 

 

ix. 자른 후에 모양

 

x. 밑에 천의 뒷면 모양

반응형